한국사 국왕 시해자 리스트(위만조선~통일신라) 역사

위만조선

 



이계상 삼(尼谿相 參):우거왕을 암살하고 한나라에 항복하여 홰청후(澅淸侯)에 봉해짐.

 



 

부여국

 



부여 농민들:”옛 부여의 풍속에 장마와 가뭄이 연이어 오곡이 익지 않을 때 그때마다 왕에게 허물을 돌려서 혹은 왕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고 하거나 혹은 왕은 마땅히 죽어야한다고 하였다.삼국지 동이전 부여(물론 그 상황에서 죽어야 했던 부여왕은 이름이 전해지지 않음.)

 



 

고구려

괴유:뜬금없이 대무신왕에게 자기소개를 한 뒤에 대소왕의 목을 벤 거인. 9척이면 225cm~270cm인데 괴력이 장난 아닐것 같다. 무려 그정도 스펙이 삼국사기에 실려있다니...

 



두로(杜魯):고구려 모본왕의 시종. 포악한 모본왕을 암살하였다.

 



명림답부(明臨答夫):고구려 차대왕을 시해. 신대왕 시대의 국상이 되었다. (이전의 국왕시해자와는 달리 명림답부는 충신으로 기록된다.)

 



창조리(倉助利):고구려 봉상왕 시대의 국상. 포악한 봉상왕을 암살하고 을불(후일 미천왕)을 왕으로 세운다.

 

장수왕(長壽王):북연의 풍홍, 백제 개로왕, 신라 실성왕 3국의 군주를 Kill한 경력이 있다.

 



연개소문(淵蓋蘇文):고구려 영류왕 시대의 동부대인. 영류왕을 포함한 고구려 대신들을 살해했다.

 



 

낙랑

낙랑자객(후대 기록으로는 신라 검객 황창랑):백제 분서왕을 살해하였다. 후대 기록에 의하면 신라 검객 황창랑이라는 사람이 범인이라는데 후대 기록으로 안시성 성주의 이름이 양만춘이다라고 기록되있는것과 비슷한 맥락이므로 그리 적는다.


백제

 



근구수왕(近仇首王): 태자 시절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.

 



아신왕(阿莘王):선왕인 진사왕을 제거하고 왕이 되었다.

 



고이만년 (古爾萬年), 재증걸루(再曾桀婁):고구려에 망명하여 개로왕을 시해.

 



해구(解仇):백제 병관좌평으로 문주왕을 살해하였다.

 



백가(苩加):백제 위사좌평으로 동성왕을 살해하였다.

 






신라

눌지 마립간(訥祗 麻立干):숙부뻘인 실성 마립간이 자객을 보내자 역으로 자객을 보내 살해.

 



도도(都刀):신라 김무력의 비장으로 백제 성왕을 죽인다.

 



김지정,김양상,김경신:해당 인물은 혜공왕 시해 사건의 유력 용의자이다. 이중 1명은 반란을 일으켰다는 김지정이고 나머지 2명인 김양상, 김경신은 선덕왕, 원성왕이 된다.

 



김양(金陽):무열왕계이고 민애왕을 시해하였다. 특이한점은 김주원의 증손자라는 점이다.

 



헌덕왕(憲德王):이름은 김언승.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.

 



견훤: 후백제의 군주. 신라의 경애왕을 살해함. 개인이 암살한것보다 국가의 수장이 살해한 경우.

 

 

해당 리스트에 괴유와 낙랑자객을 넣었습니다.

그리고 드는 감상인데.... 백제왕들 중에 시해당한 비율이 꽤 높은듯요. 고려왕도 더러 살해당한 군주가 꽤 되는데....(제가 조사하는 인물 중에는 강조, 이의민 등등 많긴 합니다.)

 

고이왕도 선왕을 시해했다는 느낌이 드는데 넣을까 말까 고민중입니다. 삼국사기에 고이왕 즉위년에

[고이왕(古尒王)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다. 구수왕이 재위 21년에 사망하자, 그의 맏아들 사반이 왕위를 이었으나 나이가 어려 정사를 잘 처리하지 못하였으므로 초고왕의 동복(同腹) 아우 고이가 왕위에 올랐다.]

라고 되어있는걸 보면 사반왕의 운명이 어떻게 됬는가 추론해볼 수 있지만....

 






시해당한 백제왕 리스트
 군주킹슬레이어
제 10대분서왕낙랑자객(혹은 황창랑)
제 16대진사왕아신왕
제 21대개로왕재증걸루, 고이만년, 고구려 장수왕
제 22대문주왕병관좌평 해구
제 24대동성왕위사좌평 백가
제 26대성왕고우도도,김무력, 신라 진흥왕

덧글

※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.